보일러플레이트 코드(Boilerplate Code)란?
보일러플레이트 코드(Boilerplate Code)는 프로그램의 구조나 기본 동작을 설정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표준화된 코드 부분을 말합니다. 이런 코드는 대개 기능 구현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언어의 특성상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클래스 정의, 인터페이스 구현, getter/setter 메서드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보일러플레이트 코드는 필수적이지만, 개발자 입장에서는 반복적이고 불필요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대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이러한 코드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코틀린(Kotlin)**에서는 자바(Java)에서 필요했던 많은 보일러플레이트 코드를 간소화할 수 있는 문법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코틀린과 자바에서의 보일러플레이트 코드 예시
1. 데이터 클래스 정의
- 자바(Java):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ublic Person(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int getAge() {
return age;
}
public void setAge(int age) {
this.age = age;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Person{name='" + name + "', age=" + age + "}";
}
}
- 코틀린(Kotlin):
data class Person(val name: String, val age: Int)
코틀린의 data class를 사용하면 자바에서 직접 작성해야 했던 생성자, getter/setter, toString, equals, hashCode 메서드 등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2. 싱글톤 객체
- 자바(Java):
public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instance;
private Singleton()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if (instance == null) {
instance = new Singleton();
}
return instance;
}
}
- 코틀린(Kotlin):
object Singleton
코틀린의 object 키워드는 싱글톤 패턴을 간결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해줍니다.
반응형
'Develop > Co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프리터 언어와 컴파일 언어의 특징과 차이점 (2) | 2024.12.03 |
---|---|
DRY, KISS, YAGNI 프로그래밍 원칙 (2) | 2024.12.02 |
DTO, VO, Entity, POJO 의 특징과 차이점 (0) | 2024.11.30 |